[경북기관] 경북수산자원연구원, 볼락류 종(種) 보존 위해 어린 개볼락 방류
동해안의 숨겨진 참맛! 어린 개볼락 7만마리 자원조성
기사작성 : 2023.09.13 (수) 09:04:08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원에서는 동해안 고부가가치 볼락류의 종(種) 보존 및 자원조성을 위해 어린 개볼락(Sebastes pachycephalus) 7만 마리를 9월 13일부터 이틀간 포항, 경주, 울진 해역에 방류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방류하는 어린 개볼락은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원에서 지난 4월부터 약 6개월간 사육한 전장 5cm 이상의 건강한 개체로, 어업인이 참여한 가운데 포항 방석리 해역(1만 마리), 경주 하서리 해역(3만 마리), 울진 현내리 해역(3만 마리)에 방류한다.
※ 종자 생산을 위해 사용된 개볼락 어미는 동해안 연안에서 포획된 것이며, 연구원 내 육상수조에 수용하여 건강한 개체의 산란을 위해 갯지렁이, 새우 등 신선한 먹이를 공급하여 키운 것이다.
한편, 경북도에서는 2016년부터 종(種) 보존 및 자원 회복사업의 일환으로 동해안에서 포획되는 볼락류를 시험·연구품종으로 지정해 생태학적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2021년 국내 최초 탁자볼락 인공종자 생산 성공에 이어 2022년 동해안 최초 개볼락 생산에도 성공해 방류하는 성과를 거뒀다.
아울러 ‘21, ‘22년 생산된 볼락류 인공종자 일부를 연구원 내 사육 중에 있으며, 향후 이를 활용해 완전양식** 기술개발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완전양식 : 어미에서 채란한 다음 수정시켜 부화 사육해서 이 중 일부를 어미로 길러 다시 채란하는 것과 같이 전생애(全生涯)를 인공적으로 관리해서 기르는 것
이경곤 경북도 해양수산국장은 “사라져가는 동해안 볼락류처럼 지역적 특성이 있는 고부가가치 품종을 적극적으로 보전해 나갈 필요가 있다”라며, “경북도는 지금까지 시험·연구품종이었던 볼락류를 내년부터는 방류품종으로 지정해 인공종자 대량생산 및 방류를 통한 자원 회복과 어업인 소득증대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새경북방송 gumisun@daum.net
[새경북방송]의 사진과 기사를 무단 전제 및 재배포시 저작권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기사 댓글
! 욕설 등 인신공격성 글은 삭제됩니다.
최근 가장 많이 본 기사인물
최근 가장 많이 본 기사인물은 독자들이 인물기사에 대한 클릭수[읽기]가 실시간으로 적용된 것입니다.
검색어 TOP 20
가장 많이 본 뉴스